태양 아래의 연결

2004년, 런던의 늦여름. 마크 셔틀워스는 작은 사무실에서 창밖을 내다보고 있었다. 하늘은 맑았고, 그의 머릿속은 더 맑았다. 몇 년 전, 그는 우주로 날아간 남아프리카 출신의 첫 민간 우주인이었다. 지구를 떠난 그 경험은 그를 바꿨다. “세상은 하나로 연결될 수 있어,” 그는 생각했다. 이제 그는 새로운 꿈을 꾸고 있었다. 컴퓨터를 누구나 쓸 수 있게 만드는 것.

마크는 데비안 리눅스를 사랑했다. 자유롭고 강력했지만, 초보자에게는 너무 험난했다. “일반 사람들도 쉽게 쓸 수 있는 리눅스가 필요해.” 그는 책상에 앉아 노트에 아이디어를 적었다. 이름은 남아프리카의 철학에서 따왔다. 우분투(Ubuntu)—‘네가 있기에 내가 있다’라는 뜻. “이건 기술이 아니라 사람에 관한 거야,” 그는 중얼거렸다.

그는 팀을 모았다. 전 세계에서 온 괴짜들—프랑스의 개발자, 인도의 해커, 미국의 디자이너. “6개월 안에 배포판을 만들어요. 무료로, 누구나 쓸 수 있게.” 마크의 선언에 팀은 놀랐다. “불가능해요,” 누군가 말했다. 하지만 마크는 웃었다. “내가 우주에 갔던 걸 생각하면, 이건 쉬워.”

사무실은 곧 활기로 넘쳤다. 데비안을 뼈대로 삼아, 그들은 인터페이스를 다듬었다. GNOME을 얹고, 설치 과정을 단순화했다. “클릭 몇 번으로 끝나야 해,” 마크는 강조했다. 밤마다 커피와 피자 상자가 쌓였고, 코드가 쌓였다. 2004년 10월 20일, 우분투 4.10 ‘Warty Warthog’가 세상에 나왔다. 이름은 농담처럼 붙였다. “완벽하진 않지만, 시작이야.”

마크는 배포판을 무료로 공개했다. 심지어 CD를 우편으로 보내주겠다고 약속했다. “돈이 없어도 누구나 써야 해.” 전 세계에서 주문이 쏟아졌다. 남아프리카의 학생, 인도의 교사, 브라질의 프로그래머—우분투는 그들의 손에 닿았다. 포럼엔 감사의 글이 넘쳤다. “이게 리눅스라고?” “너무 쉬워!”

하지만 도전도 있었다. 데비안 커뮤니티는 우분투를 의심했다. “너무 상업적이야,” “자유를 팔아먹었어,”라는 비판이 나왔다. 마크는 고개를 저었다. “우린 자유를 더 많은 사람에게 주려는 거야.” 그는 캐노니컬(Canonical)이라는 회사를 세워 프로젝트를 뒷받침했다. 돈은 필요했다. 서버를 돌리고, 개발자를 먹여 살리려면.

시간이 흘렀다. 우분투는 진화했다. 6.06 LTS는 안정성을 자랑했고, 10.04는 세련된 디자인으로 사랑받았다. 마크는 사무실에서 팀과 맥주를 마시며 말했다. “우리가 만든 건 운영체제가 아니야. 연결이야.” 그의 말대로였다. 우분투는 학교, 사무실, 심지어 클라우드까지 퍼졌다.

2011년, 유니티(Unity) 인터페이스를 도입하며 논란이 일었다. “너무 무거워!” 사용자들이 반발했다. 마크는 고민했다. “우리가 너무 앞서갔나?” 결국 유니티는 물러났고, GNOME으로 돌아왔다. “사람들이 원하는 걸 들어야 해,” 그는 결론 내렸다.

2023년, 런던의 가을. 마크는 사무실 창밖을 보며 미소 지었다. 우분투 23.10 ‘Mantic Minotaur’가 막 나왔다. 수백만 명이 그것을 쓰고 있었다. 남아프리카의 한 마을에서, 아이가 우분투로 코딩을 배웠다. 마크는 우주에서 본 지구를 떠올렸다. “네가 있기에 내가 있다.” 그의 꿈은 태양 아래, 사람들을 연결하고 있었다.

Comments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