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음 위의 불씨

A developer is working on a workstation

1991년, 헬싱키의 겨울은 매서웠다. 리누스 토르발스는 대학 기숙사 방에서 낡은 386 컴퓨터 앞에 앉아 있었다. 창밖엔 눈이 쌓이고, 방 안엔 전자기기의 따뜻한 열기와 키보드 소리만이 가득했다. 스무 살의 리누스는 유닉스 책을 펼쳐놓고 코드를 짜고 있었다. 그가 사랑한 유닉스(Minix)는 강력했지만, 제약이 많았다. “내가 원하는 건 더 자유로운 거야,” 그는 혼잣말로 중얼거렸다.

리누스는 몇 달 전부터 작은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터미널 에뮬레이터로 시작한 코드는 점점 커졌다. 파일을 읽고, 프로세스를 관리하고, 디스크를 제어하는 기능이 하나씩 쌓였다. 그는 잠을 줄이고 커피를 늘리며 밤을 보냈다. “이건 그냥 취미일 뿐이야,”라고 스스로를 다독였지만, 손은 멈추지 않았다.

어느 날, 그는 Minix 사용자 그룹에 글을 올렸다.
“안녕하세요, 저는 386용 무료 운영체제를 만들고 있어요. 그냥 재미로 하는 거지만, 관심 있으면 봐주세요.”
그는 파일을 올리고 잠이 들었다. 다음 날 아침, 메일함은 터져 있었다. “코드 보내주세요!” “어떻게 돼요?” 전 세계의 프로그래머들이 반응했다. 리누스는 얼떨떨했다. “뭐야, 진짜로 관심 있는 거야?”

이름은 고민 끝에 정했다. 리눅스(Linux). 자기 이름에서 따온 건 좀 쑥스러웠지만, 어쩐지 잘 어울렸다. 그는 소스 코드를 공개했다. “누구든 고치고 싶으면 고쳐도 돼요.” 그 결정은 폭풍을 일으켰다. 핀란드의 작은 방에서 시작된 코드는 인터넷을 타고 퍼졌다. 독일의 해커가 버그를 잡았고, 미국의 학생이 기능을 추가했다. 리누스는 메일을 읽으며 웃었다. “내가 만든 게 이렇게 커질 수가 있나?”

1992년, 리눅스는 점점 모양을 갖췄다. 하지만 문제도 생겼다. Minix의 창시자 앤드류 타넨바움이 반발했다. “리눅스는 구식이야. 설계가 엉망이야!” 온라인에서 논쟁이 붙었다. 리누스는 키보드를 두드리며 반박했다. “완벽하지 않아도 돼요. 중요한 건 사람들이 쓰고 싶어 한다는 거예요.” 그 말대로였다. 리눅스는 단순하고 자유로웠다. 누구나 뜯어보고 고칠 수 있었다.

시간이 지나며 커뮤니티는 거대해졌다. 리누스는 기숙사를 떠나 작은 아파트로 옮겼지만, 여전히 혼자였다. 그는 코드를 리뷰하고, 패치를 적용하며 중심을 잡았다. “내가 다 할 필요는 없어. 다 같이 만드는 거야,” 그는 생각했다. 어느 날, 누군가 턱시도를 입은 펭귄 이미지를 보냈다. “리눅스의 마스코트로 어때요?” 리누스는 피식 웃었다. 턱스(Tux)라는 이름이 붙었다.

1994년, 리눅스 1.0이 나왔다. 헬싱키의 눈 덮인 거리에서 리누스는 친구들과 맥주를 들었다. “이제 진짜 운영체제야,” 친구가 말했다. 리누스는 고개를 저었다. “아직 시작이야.” 그의 예감은 맞았다. 리눅스는 서버, 슈퍼컴퓨터, 심지어 안드로이드까지 뻗어나갔다. 얼음 위에서 피운 작은 불씨는 세상을 따뜻하게 덥혔다.

어느 겨울밤, 리누스는 창밖을 보며 미소 지었다. 화면엔 턱스가 깜빡이고, 메일함엔 여전히 전 세계의 메시지가 쌓여 있었다. “내가 만든 게 아니야,” 그는 중얼거렸다. “우리 모두가 만든 거지.” 헬싱키의 추운 방에서 시작된 꿈은 이제 전 세계의 손끝에서 숨 쉬고 있었다.

Comments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