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ubuntu
- 페니휘슬
- 커피
- 증권
- 틴휘슬
- Elex
- Irish whistle
- 투자
- 리눅스
- Android
- 우분투
- 보조지표
- 책
- 아이리쉬휘슬
- 우분투 17.10
- 노래
- penny whistle
- 요리
- linux
- 주식
- tin whistle
- 재테크
- 홈레코딩
- 한글
- 스크랩
- 안드로이드
- 기술적분석
- 피아노
- 악보
- 자바
- Today
- 19
- Total
- 677,177
목록linux (11)
Elex
우분투를 노트북에서 사용하는 경우 한/영 키 및 한자 키가 제대로 맵핑되지 않는 경우가 있으므로이때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설정하면 키보드의 한/영키와 한자키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우선, 사용중인 키보드에서 원하는 키의 키코드 값을 알아내야 한다.터미널에서 xev를 실행한 후 키보드의 키를 눌러보자. $xev내 키보드에서 한/영 키는 108, 한자키는 105임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알아낸 키값을 설정해야 한다.텍스트 편집기를 사용해서 ~/.Xmodmap 파일을 수정한다.$sudo gedit ~/.Xmodmap 위의 파일에 다음의 두 줄을 입력하고 저장한다.keycode 108 = Hangul keycode 105 = Hangul_Hanja재부팅 후 잘 작동하는지 확인해보자. 덧. 기본적으로 ..
https://help.ubuntu.com/community/ApacheMySQLPHP 우분투에 Apache, PHP, MySQL을 설치하려는 경우에는 위의 링크를 참고하라. 자세한 설명은 다음 기회로 미룬다. 테스트용 가상 서버로 활용하기 위해 버추얼 박스에 우분투를 설치해서 웹서버를 만들어 보는 도중에 발굴한 좋은 문서이다. 우분투 서버 버전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겠으나, 나의 경우 CLI에서의 에디터 사용에 익숙치 못하니 데스크탑 버전을 설치하여 테스트 하기로 하였다. 그래서, 필요한 프로그램들은 위 문서의 패키지명을 참고해서 시냅틱을 사용해서 설치했다. 그러나, HTML 페이지 내에 삽입된 PHP 코드를 해석해 내지 못하는 문제에 봉착하여 난항을 거듭하는 중이다. HTML 파일은 잘 불러온다. ..
나는 현재 우분투 10.04 64bit를 사용하고 있다. 유튜브 사이트에서는 아무 이상없이 재생된다. 유튜브가 만들어 준 임베디드 태그 그대로 블로그에 링크된 영상이 불여우에서는 재생 버튼을 눌러도 아무 반응이 없다. 물론, 리눅스용 크롬에서는 제대로 재생이 된다. 포럼을 뒤진 결과 다음과 같은 해결책을 찾을 수 있었다. 1. 설치된 플래시를 지우라고 했지만 나는 지우지 않았다. 2. 여기로 가서 리눅스용 플래시 플레이어 10 파일을 다운로드 한다. 압축 파일 안에는 libflashplayer.so 라는 파일이 있다. 3. 루트 계정으로 노틸러스를 실행한 후, /usr/lib/mozilla/plugins 디렉토리에 위의 libflashplayer.so 파일을 복사한다. 4. 파이어폭스를 실행하니 제대로 ..
AWN 설정 문제로 리셋을 하고 싶다면 우선 AWN의 프로세스를 죽이고 난 뒤에 gconftool-2 --recursive-unset /apps/avant-window-navigator를 실행한다. 참 조
우분투 저장소에는 기본적으로 VirtualBox OSE (open source edition)가 있지만 OSE는 USB 메모리가 지원되지 않으므로 다음과 같이 하면~! 참조 1. 소프트웨어 소스에 다음을 추가함 deb http://download.virtualbox.org/virtualbox/debian lucid non-free 2. 키파일을 받아서 인증탭에서 추가 3. 시냅틱 패키지 관리자에서 virtualbox-3.2을 설치함 또는, apt-get install virtualbox-3.2
1. 어도비 사이트에서 받은 리눅스용 설치 파일의 이름은 AdobeAIRInstaller.bin이다. 2. 터미널에서 실행권한을 설정한다. chmod +x AdobeAIRInstaller.bin 3. 터미널에서 다음 명령으로 실행하면 잠시 후 설치가 진행된다. sudo ./AdobeAIRInstaller.bin
1. /etc/fonts/conf.d/29-language-selector-ko-kr.conf 파일을 관리자모드로 열어 본다. 터미널에서는 sudo gedit /etc/fonts/conf.d/29-language-selector-ko-kr.conf 라고 하면 되겠다. 2. 아래 부분을 찾아 다음과 같이 주석처리한다. 3. 하나 더 찾아서 주석처리한다. 4. 저장하면, 적용된다. 끝...
현재 우분투 9.10 위에 버추얼박스를 설치해서 윈도우즈XP를 구동시키고 있는 상태. 이때 버춸박스는 OSE가 아님. 아래의 이전 글을 참조. 2010/05/26 - [IT/Software] - Ubuntu 10.04에 VirtualBox 설치 1. "시스템 > 관리 > 사용자와 그룹"을 클릭... 그룹설정을 누르면 아래쪽에 vboxusers가 보인다. 속성을 눌러서 내 계정을 포함시켜준다. 한 줄로 쓰자면... $ sudo gpasswd -a YOURUSERNAME vboxusers 라고 할 수 있겠군... 2. $ grep vboxusers /etc/group를 명령창에서 실행하면... vboxusers:x:124:username 이런식으로 결과가 나온다. 여기서, 숫자값이 중요! 3. 에디터에서 /..
1. 소프트웨어 소스에 다음을 추가한다. deb http://ppa.launchpad.net/ubuntu-ko/ppa/ubuntu karmic main deb-src http://ppa.launchpad.net/ubuntu-ko/ppa/ubuntu karmic main 2. hunspell을 설치한다. sudo apt-get install hunspell hunspell-ko-kr 참조
스텔라리움에서 한글 사용하기 우분투 9.10의 경우 /usr/share/stellarium/data에 사용할 한글 ttf 파일을 복사합니다. fontmap.dat 파일을 열고 아래에 ko nanum-gothic.ttf 1.2 nanum-gothic.ttf 1.2 ko_KR nanum-gothic.ttf 1.2 nanum-gothic.ttf 1.2 를 추가해 줍니다. /home/user/.stellarium 에서 config.ini 파일을 열고 base_font_name = nanum-gothic.ttf를 수정해 줍니다. 뭐... 이정도...? Stellarium은 별보기 프로그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