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요리
- 한글
- 페니휘슬
- 주식
- 보조지표
- 증권
- 우분투
- 기술적분석
- 노래
- 피아노
- 투자
- linux
- Irish whistle
- 커피
- 틴휘슬
- 홈레코딩
- ubuntu
- 재테크
- penny whistle
- Elex
- 스크랩
- 악보
- 책
- 리눅스
- tin whistle
- Android
- 아이리쉬휘슬
- 안드로이드
- 자바
- 우분투 17.10
- Today
- 85
- Total
- 677,243
목록증권 (27)
Elex
목차 2012/07/14 - [경제 | 경영] - 기본적 분석2012/07/15 - [경제 | 경영] - 기술적 분석2012/07/15 - [경제 | 경영] - 캔들 분석2012/07/15 - [경제 | 경영] - 패턴 분석2012/07/15 - [경제 | 경영] - 추세분석2012/07/15 - [경제 | 경영] - 거래량 분석2012/07/15 - [경제 | 경영] - 엘리어트 파동2012/07/16 - [경제 | 경영] - 역시계곡선2012/07/16 - [경제 | 경영] - 이큐볼륨차트2012/07/16 - [경제 | 경영] - 삼선전환도2012/07/17 - [경제 | 경영] - Swing 차트2012/07/17 - [경제 | 경영] - P&F(Point&Figure) 차트2012/07/17 -..
CCI 지표의 이해 CCI(Commodity Channel Index)는 기본적인 추세추종형지표로서 다양한 각도에서 주가의 향방을 판단할 수 있는데 특히 보다 장기적인 기간까지 주가의 흐름을 읽을 수 있기 때문에 중장기 지표로서 효용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더욱이 이 지표는 추세추종형임에도 불구하고 강도까지 나타내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큰 지표로 인식되고 있다. 많은 투자자들이 그날의 특정가격을 찾고 이를 기초로 향후 주기를 판단하고자 한다. 그러나 그날의 특정가격이라는 것은 '이것'이라고 딱히 꼬집어 말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이러한 가격은 그날의 고가도 될 수 있고 저가나 고가와 저가의 평균가도 될 수 있다. 물론 고가와 저가, 종가의 평균가도 그날의 특정가격으로 볼 수 있고 시가도 이 범주에 ..
DMS 지표의 이해 주식투자에서 수익을 내기 위한 최선의 방법은 추세에 편승하는 방법이다. 주가가 오르거나 내리는 것에 상관없이 그 때 형성되고 있는 시장이 추세적 시장인지 비추세적 시장인지만 알 수 있다면 바로 수익과 직결될 수 있다. 물론 추세의 중요성을 알고 있는 투자자들도 있다. 추세를 알고 싶어서 이동평균선이나 MACD로 사용하는 사례가 이 경우로 볼 수 있지만 이러한 지표들은 추세의 방향만을 사후적으로 보여질 뿐 추세의 힘에 대해서는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 추세적 시장인지 비추세적 시장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지표가 DMS (Directional Movement System)이다. 이 지표는 기타 모멘텀류에 지표들 중에 상당히 독특할 뿐만 아니라 유용성 또한 매우 높다. DMS는 한 개의 지표가..
MACD 월가의 격언 중에' 달리는 기차에 올라타라(Jumping on the Train) '는 말이 있다. 이것은 추세에 철저하게 순응하는 전략만이 수익을 가져올 수 있다는 얘기다. 예컨대 자신의 잣대로 주식투자에 임하기보다는 생동하는 주가의 흐름을 좇아가는 것이 수익을 얻을 수 있는 확률이 높다. 주식투자에서는 추세가 매우 중요하며 이러한 추세를 알기 위해 이동평균선을 이용하는 게 보편적이다. 실제 주식투자자들 가운데 이동평균선을 이용해 투자하는 사람들이 많다. 주식투자를 처음 하는 투자자들은 이동평균선을 어려워하는 경향이 있는데 사실 이것은 그리 복잡한 개념이 아니다. 예를 들어 5일 이동평균선의 경우 5일간 거래한 사람들의 평균매매단가를 의미한다. 흔히 이동평균선이 교차할 때가 투자시점의 적기라고..
RSI(Relative Strength Index) 지표의 이해 증시 격언에 '오르는 종목을 매수하라'는 말이 있다. 오르고 있는 종목은 보다 강력한 매수세가 작용함으로써 기대 이상의 상승을 보여줄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추세의 상대적인 강도다. 이 강도를 알 수 있다면 종목이 오르는 것인지 내리는 것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RSI는 이러한 전제하에 출발하는 보조지표이다. 어떤 주식이 상승한다는 것은 하락 폭보다 어떤 기간동안의 상승폭이 컸다는 얘기가 되며 반대로 하락한다는 것은 하락 폭이 상승폭보다 컸다는 것을 의미한다. 만일 어떤 주식이 일정기간동안 상승폭이 너무 컸다면 그 주식은 조정이 생길 것이고 하락 폭이 컸다면 반등을 기대할 수도 있다. 결국 RSI 지표는 말 그대로 하락 ..
Bollinger bands 지표의 이해 Bollinger Bands는 Envelope의 상하밴드에 변동성을 가미하여 주가가 변동함에 따라 상하밴드의 폭이 움직이게하여 주가의 움직임을 밴드 내에서 판단하고자 고안된 지표이다. 본래 Perry Kaufman이 처음 소개할 때 이름은 알파-베타 밴드이었으나 이 지표를 대중화시키고 발전시킨 John Bollinger의 이름을 붙여 흔히 Bollinger Bands라고 지칭한다. 결국 Bollinger Bands 이해의 Key Word는 '변동성'이다. 이를 밴드에 표현했다는 점이 바로 Envelope, MAC 와 Bollinger Bands의 차이를 가져온 것이다. Bollinger Bands에서 변동성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한 것은 통계학에서 사용하는 '표준..
스토캐스틱(Stochastics) 지표의 이해 주식투자를 하다보면 간혹 현재 주가가 어느 위치에 있을까 궁금해 질 때가 있다. 이 때 살피는 것이 스토캐스틱이다. 스토캐스틱은 현재의 주가가 일정기간 동안의 주가변동폭 중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백분율로 나타낸 지표다. 이 지표는 상승추세에서는 매일의 종가가 주가 움직임(고가-저가)의 고점 근처에서 형성되고 하락추세에서는 저점 근처에서 끝나는 경향이 있다는 사실에 기초하고 있다. 때문에 이 지표를 활용하는 것은 매일의 종가가 최근 일정기간의 고가-저가 범위 내의 어느 곳에 위치하는 가를 관찰함으로써 시장의 강약을 파악하기 위해서다. 스토캐스틱은 0에서 100까지의 값을 가지는데 값이 100이면 최근의 종가가 이제까지 n일 동안의 형성된 시장가격 중에서 최고수준..
다이버전스(Divergence) 주가와 모멘텀 지표가 같은 방향으로 움직일 때는 주가와 모멘텀 지표, 즉 방향성의 힘이 같은 방향으로 나아간다는 것으로서 추세가 지속된다는 의미로 받아들일 수 있다. 그렇다면 주가가 고점을 높여가며 오르고 있는데 모멘텀 지표는 고점을 낮춰가며 내리고 있거나 주가는 저점을 낮추고 있는데 모멘텀 지표는 저점을 올려가며 상승하고 있는 경우, 즉 주가와 모멘텀 지표가 반대 방향으로 움직인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이는 모멘텀이 '방향성의 힘'이라는 개념을 알고 있다면 사실 추론으로서도 해석이 가능하다. 주가와 모멘텀이 반대로 움직인다는 것은 주가가 현재 이루고 있는 추세와 반대의 방향으로 추세가 반전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는 사실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 같은 경우를 기술적 분석에..
KAGI 차트 개요 1876년 일본의 곡물시장에서 처음 KAGI차트가 사용, 가격 의존적이라는 점과 미국,유럽에서 각광받고 있다는 점에서 P&F 차트와 유사 불규칙적인 가격의 변동을 예측하는데 사용됨으로써 시장의 주추세를 파악하는데 유용 특징 가격의 방향 중시, 시간의 흐름 무시 사소한 시장가격은 제외, 종가만 사용 - 되돌림양(Reversal Amount) 설정으로 noise 제거 작성자에 따라 다양한 유형 - 작성자가 되돌림양 (Reversal Amount)의 임의 설정 KAGI 차트 작성 예 기간종가T(시장가격)10.00T+110.75T+211.00T+311.25T+410.75T+510.25T+69.75T+79.50T+810.75T+911.75
P&F(Point&Figure) 차트 개요 19세기말 찰스 다우(Charles Dow)가 '주가의 기록법(Book Method)'이라는 표현으로 P&F 차트 기법이 첫등장을 하였고 1933년 빅터 드 빌러스(Victor de Villers)가 최초로 'P&F 차트'란 단어를 사용, 이후 1947년 에이브 코헨(Abe Cohen)이 '3포인트 반전 P&F 차트의 주가 예측법'이란 책을 통하여 현재의 모델이 완성 특징 가격의 방향 중시, 시간의 흐름 무시 → 하나의 COLUMN에 여러기간의 연속된 시간 함축 사소한 시장가격은 제외 → 최소반전(minimum reversal) 설정으로 noise 제거 작성자에 따라 다양한 유형 → 작성자가 한칸의 크기(box size)와 최소반전(minimum reversal..
Swing 차트 Swing차트는 시간개념을 무시한 가격위주의 지표로서 추세전환과 패턴의 변화를 파악하는데 용이한 차트입니다. P&F와 비슷한 개념으로 P&F 챠트가 주가의 움직임을 O,X로 표시하는데 반해 Swing Chart는 주가의 등락을 직선의 굴절로 표시하여 가격의 변화가 한 칸의 움직임에 미치지 못할 경우에도 표기가 가능하고 P&F차트에서와 마찬가지로 여러 가지 패턴을 적용하여 주가의 변화를 예측할 수가 있습니다. 적용 주가의 상승시 전고점을 돌파하는 시점을 매수신호로 보고, 하락시 전저점을 돌파하는 시점을 매도 신호로 파악합니다. Swing차트는 Kagi 차트와 유사한 모양을 띠고 있지만 다른점은 Kagi차트는 중심점을 표시하지만 Swing차트에서는 표시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이 중심점은 매..
삼선전환도 삼선전환도는 시간개념을 제외하고 가격개념만을 적용하여 작성하는 지표로서 종가를 기준으로 합니다. 원래의 취지는 주가의 전환시점을 좀더 빠르고 쉽게 파악하기 위해 개발되었지만 실제로는 단기간 주가의 등락이 반복되는 경우를 포함하여 몇몇 큰 폭의 가격변화가 지속적으로 이어지는 상황에서는 그 적용이 효과를 보기가 어렵고 이미 가격변동이 상당기간 지난 후에 매매시점이 나타나는 단점때문에 5% 또는 10% 플랜을 병행하여 사용하는데 고점과 저점에서 각각의 비율만큼 변동이 있을 때를 매매 타이밍으로 활용하게 됩니다. 매매적용시에는 상승하던 주가가 반전하여 직전의 상승선(양선) 세 개를 돌파하여 하락할 경우에 한해 하락선(음선)으로 그리며 이를 매도신호로, 반대로 하락하던 주가가 반전하여 직전의 하락선 세..
이큐볼륨차트 이큐볼륨차트는 일반적인 주가챠트에서 주가와 거래량이 분리되어서 나타나는 시각적인 단점을 없애고 가격과 거래량을 하나의 봉의 형태로 나타냄으로써 챠트를 단순화 시켜 각각의 박스 형태를 가지고 분석을 하는 지표입니다. 시간개념 보다는 주가와 거래량의 분석이 더 중요하다 할 수 있겠습니다. 적용 이큐볼륨챠트의 봉모양은 해당 거래기간동안 주식의 수요와 공급을 나타냅니다. 짧고 넓은 박스(oversquare day) 작은 주가움직임에 대량의 거래가 생긴 형태로서 고점, 저점에서 자주 등장합니다. 고점에선 강한 매도세력이 버티고 있어서 하락전환점으로 작용하는 경향이 있고, 저점에서 나타나면 강한 매수세를 동반한 상승전환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길고 좁은 박스( a narrow day) 작은 ..
역시계곡선 역시계곡선은 주가와 거래량의 관계를 분석하여 추세의 전환을 예측한 곡선 차트로서 그 모양이 시계와 반대방향의 진행을 보인다 하여 역시계곡선이라하고, 실전에 자주 쓰이지는 않지만 중기와 장기 매매타이밍을 포착하는데 주로 사용합니다. 작성하는 방법은 주가와 거래량의 이동 평균값(통상25일)을 계산하여 가로축에는 거래량을 표시하고 세로축에는 주가를 표시합니다. 처음에 계산한 이동평균값을 매일 연결하여 그립니다. 양전환 (역시계곡선이 6시 방향에서 3시 방향쪽으로 움직이는 경우) 주가는 바닥 수준이지만 거래량이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매수신호 주가가 오르기 시작하면서 거래량도 늘어나고 있다. 매수지속 거래량은 변동이 없지만 주가는 계속 오르고 있다. 매수유보 주가는 오르고 있지만 거래량은 줄어들기 시..
엘리어트 파동 기본이론 물리 이론에 보면 "모든 움직임에는 작용과 반작용이 있다"라는 것이 있다. 이것은 금융시장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주가의 오르내림에도 반드시 그 반대의 움직임이 뒤따른다 즉 "오르면 반드시 내리고 또 내리면 반드시 오른다". 주가의 움직임은 주된 추세라는 한쪽 방향과 조정이나 횡보라는 그 반대 방향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주된 추세는 주가가 움직이는 주된 방향이고 조정은 추세에 반대되는 움직임이다. 엘리어트의 용어로는 충격 파동(impulsive waves)과 조정 파동(corrective waves)으로 불린다. 충격 파동은 5개의 명확한 주가 움직임으로 구성되는데 이중 3개는 추세에 부응하는 방향이고(1,3,5), 두개는 추세와 반대 방향이다(2,4). 추세와 같은 방향으로 움직..
거래량 분석 거래량 분석의 필요성 거래량과 주가 움직임은 상호 불가분의 관계에 있습니다. 주가가 상승추세로 진입하거나 하락추세로 진입하게 되면 그에 앞서 거래량의 변동이 나타나는데 이 점이 거래량 분석을 해야 할 가장 큰 이유입니다. 거래량 분석은 크게 나누어 상승추세에서의 거래량 특징과 하락추세에서의 거래량 특징으로 구분지을 수 있습니다. 상승추세의 거래량 특징 상승초기에는 점진적으로 거래량이 증가한다. 상승추세가 진행될 경우에는 거래량 변동이 불규칙적일 때가 많지만 통상 평균거래량을 상회하며 주가 움직임과 유사하게 증가합니다. 거래량 이동평균선이 골든크로스를 나타내면 매수에너지는 가장 강력하다고 볼 수 있으며 이때의 매수대응은 적절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주가가 특정가격대, 즉 전고점이나 저항선을 돌..
추세분석 추세선 추세분석의 가장 고전적이면서 기본적인 기법으로서 상승추세선, 하락추세선이 있고, 시간의 범위에 따라 각각 장기, 중기, 단기 추세선으로 구분 상승 추세선 : 차트에 이미 형성되어 확인된 골과 그 다음에 좀더 높아진 골을 연결 하락추세선 : 차트에 이미 형성되어 확인된 정과 그다음에 좀더 낮아진 정점연결 추세선의 돌파기준 : - 추세선 돌파의 유효성 여부를 확인하는데 여과장치(filer) 필요 - 종가가 추세선을 돌파했는지, 추세선의 위치에서 일정 금액(포인트) 또는 일정 비율 이상으로 가격이 기록되었는지, 가격이 최소한 이틀 이상 연속해서 추세선을 벗어나고 있는지를 판단. 실제로는 자신만의 기준 및 시각이 중요 추세대 추세대는 가격 움직임이 추세선을 따라 일정 폭안에서 움직일 때 그려지는..
패턴 분석 가격패턴이란? 가격패턴은 주식이나 선물의 가격차트에 나타나는 것으로 예측가치를 지닌 그림이나 형태이다. 패턴의 종류 가격패턴은 크게 반전과 지속의 두 형태로 분류될 수 있다. 반전형은 중요한 추세반전이 일어나고 있음을 나타내고, 지속형은 기존의 추세를 재개하기에 앞서 일시적인 과매수나 과매도를 조정하기 위해 잠시 정체해 있는 것을 말한다. ① 반전형-머리어깨형, 3중 천정형과 3중 바닥형, 2중 천정형과 2중 바닥형, V자 천정형과 V자 바닥형, 접시형(원형) 등 ② 지속형-삼각형, 사각깃발형, 삼각깃발형, 쐐기형, 직사각형 등 반전형 패턴 머리어깨형 상승 모멘텀이 적어지고 있는 상승추세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수평추세가 된다. 이기간에는 수급이 균형을 이룬다. 그러나 이러한 분산단계가 완료된 ..
캔들 분석 캔들분석의 중요성 우리가 주식의 흐름을 분석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기법이 있다. 특히, 기술적 분석은 사람들이 각자 나름대로 개발하고, 발전시킨 수많은 기법들이 이용되고 있다. 우리가 주식시장에서 시장의 흐름을 가장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해석하며 미래의 주가를 예측할 수 있는 한 방법으로써 기술적 분석은 그 의미를 가지며, 이 기술적 분석의 시작은 캔들분석에 있다. 따라서, 소위 말하는 챠트분석은 우리가 매일 쳐다보고 있는 일봉을 해석하는 것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 일봉패턴과 형태로써 주가에 참여한 세력의 유무를 알아내고, 향후 주가움직임을 예측할 수 있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캔들분석의 올바른 이해 위에서 언급했다시피 우리는 캔들분석을 통해서 미래의 주가흐름을 예측할 수 있다. 하지만..
기술적 분석의 이해 기술적 분석과 기본적 분석 - 기술적분석 : 과거 및 현재의 시장가격 변동을 연구하여 특징을 찾아내고, 이를 통해 미래의 가격변화를 예측하고자 하는 기법 - 기본적분석 : 시장에서 거래되고 있는 어떤 상품의 본질적가치를 연구하여 현재 시장가격과의 괴리를 밝힘으로써 향후의 가격을 예측하고자 하는 기법 - 차이점 : 기본적 분석은 수요와 공급의 경제적인 관계에 초점을 두고 어떤 상품의 시장가격을 결정하는 요인을 찾고자 노력하는 반면에, 기술적 분석은 그 시장가격의 결과가 미래에 끼칠 효과에 중점을 두고 접근한다. 기술적 분석의 의의 - 시장의 움직임은 모든 것을 반영한다. 시장가격의 움직임은 수요, 공급의 원칙에 따른 결과적인 현상, 이미 알려진 모든 것은 물론이고 알려지지 않았으나 예측..
기본적 분석이란? 기술적분석에 대비되는 개념으로 기업의 펀드멘탈(Fundamental)을 분석하여 궁극적으로 내재가치(Intrinsic Value)를 측정하고자 하는 분석방법을 말합니다. 내재가치란 본질가치라고도 하는데 '기업이 미래에 창출할 현금흐름을 적정한 할인율로 할인한 현재가치'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주가는 기업의 내재가치를 중심으로 같이 움직인다는 가정하에 기업의 수익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제, 산업 및 기업의 경영, 재무요인 등의 기본사항을 분석하고자 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현재의 주가수준(고평가 또는 저평가)을 알 수 있으며, 향후 미래의 주가움직임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분석기법으로는 EPS,BPS,CPS,PER,PSR,PBR,PCR,PEG,SPS,SFPS,PCF,EV/EBITDA,..
주가의 고점과 저점이 함께 높아지고 있는 경우에는 상승 추세이고, 고저과 저점이 함께 낮아지고 있는 경우에는 하락 추세이다. 진행되던 추세가 깨지고 다음 추세가 나타날 때까지는 혼조(mixed)세를 보인다. 혼조세 중에는 주가가 박스권 내에서 움직일 것이며, 이때는 매매를 자제하고 다음 파동의 이동 방향이 확인될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승 파동은 저점의 상승에서 시작되므로, 저점의 상승을 확인한 후에 주식을 사는 것이 안전하다. 상승하는 주가는 파동의 속성상 조정을 받게 되며 이를 눌림목이라 부른다. 저점이 직전 저점보다 높아진 파동의 형태를 쌍바닥 또는 W자 바닥이라고 한다. 현재의 저점이 직전 저점보다 낮은 경우에는 외바닥이라고 부른다. 쌍바닥은 장기이평선일수록 신뢰도가 더 높다. 하락 ..
PER (Price Earnings Ratio : 주가 수익 비율) = 주가 / 주당순이익 PER이 낮으면 주가 상승 가능성이 높음. EPS (Earnings Per Share : 주당 순이익) 한 주당 일년동안의 이익 PBR (Price Book-value Ratio : 주가 순자산 비율) 주가와 자산가치의 비율. 주가의 적정성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 BPS (Book-value Per Share : 주당 순자산) 기업의 자산 충실도. ROE (Return On Equity : 자기자본 이익률) 자본금을 투여하여 수익이 어느 정도인가를 나타내는 지표. 높을수록 좋다. ROA (Return On Assets : 자산수익률) 기업의 당기순이익을 자산총액으로 나눔. 기업이 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운용했느냐..
거래량은 주가의 선행지표다. 거래량이 늘어나면 주가가 상승하고, 거래량이 줄어들면 주가가 하락한다. 주가의 파동이 전 고점을 돌파했다 하더라고 거래량 파동이 낮아져서 거래량 5일평균선이 낮은 쌍봉 형태로 꺾인다면 대세 하락을 예고한다. OBV(On Balance Volume)지표는 주가가 전일보다 상승한 날의 거래량은 더하고, 하락한 날은 빼는 방법으로 계산한다. OBV의 상승은 매집 상태, 하락은 분산 상태를 나타낸다. OBV지표가 상승하고 주가도 하락하는 경우에는 주가의 반등이 예상된다. 거래량회전율(Turnover Ratio)은 (거래량 / 주식수 * 100)으로 계산한다. 100% 이상이면 과열상태이며 매도신호이다. 20% 이하이면 침체상태이며 매수신호다. 스토캐스틱(Stochastic)은 주가 ..
이동평균(Moving Average)선이란 줄여서 이평선이라고도 부르며, 일정기간 동안의 주가의 평균을 선으로 이어서 나타낸다. 5일, 10일, 20일, 60일, 120일 등의 이평선이 주로 사용되며, 5일이평선은 일주일 동안의 주가 평균이며(일주일동안 개장하는 날 수는 5일이다.), 20일은 한 달 동안, 60일은 한 분기 동안, 120일은 반년 동안의 주가 평균을 나타낸다. 이평선은 각각 그 기간의 길고 짧음에 따라 단기/중기/장기로 분류된다. 월봉차트상에서의 5이평선이라하면, 일봉차트상에서는 100일선에 해당하게 된다. 이동평균선은 하루하루의 주가 움직임보다 천천히 움직이게 되며 장기이평선일수록 그 변화의 폭은 더 느리다. 주가가 장기간 상승추세에 있는 경우, 주가 아래로 단기, 중기, 장기선 순으..
막대기 형태로 주가의 움직임을 표현한 그래프를 말한다. 하루의 주가를 표시한 것을 일봉, 한 주의 주가를 표시한 것을 주봉, 한 달의 주가를 표시한 것을 월봉이라 부르고, 분 단위로 표시한 것을 1분동, 5분봉, 10분봉 등으로 부른다. 아래에서는 일봉이라 가정하고 설명한다. 봉을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하면 양봉과 음봉이 있다. 양봉은 그 날의 종가가 시가보다 오른 경우이고, 음봉은 종가가 시가보다 내린 경우이다. 차트가 흑백인 때에 양봉은 흰색, 음봉은 검은색으로 표현하고, 컬러인 때에는 양봉은 속이 빈 붉은색, 음봉은 푸른색으로 표현한다. 시가(Opening Price)란 하루 중 가장 먼저 성립된 가격을 말하며 시초가라고도 한다. 종가(Closing Price)란 하루 중 가장 나중에 성립된 가격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