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한글
- 보조지표
- 안드로이드
- linux
- 악보
- 요리
- 노래
- 우분투 17.10
- 책
- ubuntu
- Elex
- tin whistle
- 증권
- 커피
- 리눅스
- 아이리쉬휘슬
- 페니휘슬
- 재테크
- 스크랩
- 자바
- penny whistle
- 홈레코딩
- 주식
- Android
- 투자
- 틴휘슬
- 우분투
- 피아노
- 기술적분석
- Irish whistle
- Today
- 4
- Total
- 582,966
목록IT/Software (77)
Elex
우분투의 기본 입력기로 ibus를 사용하고 있었는데, 최근 업데이트에서 한글 입력시 자모가 분리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계속 버그 패치가 올라오고 있긴 하지만, 답답해서 이번 기회에 님프를 사용해 보기로 결정. sudo add-apt-repository ppa:hodong/nimfsudo apt-get updatesudo apt install nimf nimf-libhangulim-config -n nimf 1. 리포지토리 추가2. 리포지토리 업데이트3. 설치4. 입력기 설정
일반적으로, systemd에서 사용되는 Unit 파일들은 /lib/systemd/system/에 저장되어 있다. 그러니 여기에 파일을 생성하면 된다. 샘플 유닛 파일[Unit]Description=Running a Java Jar package as a background service [Install]WantedBy=multi-user.target [Service]Type=simpleExecStart=/usr/bin/java -jar /home/elex/MyApp.jarWorkingDirectory=/data Restart=alwaysUser=root [Path] my-app.service라는 이름으로 저장한다. systemd 데몬을 재시작systemctl daemon-reload 서비스를 등록syst..
1. java.com에 접속해서 tag.gz 형식의 JRE를 다운로드 받는다. 서버에서 curl을 사용해도 좋고, 워크스테이션에서 다운로드 받은 다음 서버에 ftp로 업로드 시켜도 좋다. 2. 자바를 설치할 경로를 만들고 위의 파일을 복사해 온다. 예를 들어, /usr/java 3. 압축 해제tar zxvf jre1.8.0_171-linux-x64.tar.gz/usr/java/jre1.8.0_171 아래에 압축이 풀린다. 4. 패스 설정sudo nano /etc/environment편집기를 열고서, 아래와 비슷하게 편집PATH="/usr/local/sbin:/usr/local/bin:/usr/sbin:/usr/bin:/sbin:/bin:/us$JAVA_HOME=/usr/java/jre1.8.0_171ex..
1. SSH 서버 설치sudo apt install ssh-server 2. 재시작service ssh restart 3. 상태 확인service ssh status 4. 설정 파일 수정sudo nano /etc/ssh/sshd_configPort 를 수정하거나, ListenAddress를 수정해서 접근을 제한할 수 있음. 파일질라에서 SFTP로 접속 되는 것 까지 확인함. https://help.ubuntu.com/lts/serverguide/openssh-server.html
우분투에서 간단히 C 코드를 작성하기 위해 Geany IDE를 설치하였는데, 소스 코드의 배경색이 하얀 색이라 영 작업할 맛이 나지 않았다. 그리하여, GitHub에서 Geany용 Darcular 테마를 찾았다.https://github.com/codebrainz/geany-themes/blob/master/colorschemes/darcula.conf이 외에도 여러 테마 파일들이 있으니 스크린 샷을 보고 결정하면 된다. Geany의 메뉴바에서 도구 > 환경설정파일 > filetypes.common원래 있던 파일의 내용을 지우고 위 사이트에서 찾은 테마의 내용으로 덧씌우면 끝.
CPU 정보 확인cat /proc/cpuinfo 또는lscpu 메모리 사용 정보 확인cat /proc/meminfo 하드웨어 정보 확인sudo lshw 또는sudo lshw -short 저장 장치 목록 lsblk 디스크 사용 용량 확인 df -h 커널 정보 확인하기uname -a USB 장치 정보lsusb또는lsusb -v PCI 장치 정보lspci 파일 시스템 정보sudo fdisk -l SCSI 장치 정보lsscsi SATA 장치 정보sudo hdparm /dev/sda1 DMI 정보 확인sudo dmidecode -t processor그리고,sudo dmidecode -t memory그리고,sudo dmidecode -t system그리고,sudo dmidecode -t bios
1. 리포지토리 추가2. 데이터베이스 업데이트3. 설치4. 설정 sudo add-apt-repository ppa:createsc/3beolsudo apt updatesudo apt install ibus ibus-hangulsudo ibus-setup-hangul https://launchpad.net/~createsc/+archive/ubuntu/3beol
NAS에 파일을 저장해두고 안드로이드 태블릿에서 DS Video를 사용해 영화를 재생하는데 언제부턴가 smi 자막을 불러오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했다. 공유기도 리셋해보고, 나스도 재부팅 해보고 이래저래 며칠 동안 자막없이 영화를 즐기다가 결국 해답을 찾았는데... 원인: HTTPS를 사용하도록 설정했기 때문. 해결: 로그인 할 때, HTTPS 옵션을 해제한다.
cifs-utils는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으니 더 설치할 것은 없다.다만, 마운트할 디렉토리를 미리 만들어 두고 적절한 권한을 지정해주어야 한다.마운트할 디렉토리는 주로 /mnt 또는 /media 아래에 둔다. 텍스트 편집기를 사용해서 fstab 파일을 편집한다. xhost si:localuser:rootsudo -H gedit /etc/fstab fstab 파일의 맨 아래에 다음과 같이 한 줄을 추가해준다.//192.168.0.10/공유디렉토리 /mnt/마운트할디렉토리 cifs username=사용자이름,password=비밀번호, gid=users,file_mode=0777,dir_mode=0777,noperm 0 0 뭔가 잘 안되면 옵션에 버전을 추가해본다.vers=1.0 다음 명령을 실행하면 파일..
IntelliJ를 설치하기 전에 우선 자바를 설치해야겠지.. sudo apt install default-jdk 위 명령으로 open-jdk와 open-jre를 함께 설치할 수 있다. http://www.jetbrains.com/에서 프로그램 패키지를 다운로드 받는다. 다운로드 받은 파일의 압축을 해제하고 /opt 아래로 이동시킨다. 왜 /opt 디렉토리인가 하면... 파일시스템계층구조를 참조해보기 바란다. 복사한 프로그램 패키지의 bin 디렉토리 아래에 있는 idea.sh 파일을 실행시킨다. ./idea.sh 초기 설정 과정에 프로그램 바로가기를 추가하는 동작까지 포함되어 있어서 과거에 비하면 매우 편하다. git을 설치하려면sudo apt install git
우분투의 그래픽 디스플레이 서버가 X11에서 Wayland로 변경되면서 GUI 프로그램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는 일이 복잡하게 되었다. 요약하자면, xhost:localuser:root명령으로 관리자에게 일시적인 GUI 프로그램 실행 권한을 준다. sudo -H nautilussudo -H gedit /etc/fstab등과 같이 sudo -H옵션으로 GUI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xhost -si:localuser:root명령으로 root의 GUI 실행 권한을 종료한다. https://wiki.archlinux.org/index.php/wayland#Running_graphical_applications_as_root https://wiki.ubuntu.com/Wayland/gks
우분투를 설치하고 나면, 왼쪽 독의 프로그램 목록에 아마존이 떻하니 표시되어 있어서 어지간히 신경 쓰인다.이를 제거하려면,우분투의 소프트웨어 관리 프로그램에서 amazon을 검색한 다음 삭제한다.
https://extensions.gnome.org 에서 몇가지 쉘 확장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있는데,몊 가지 추천할만한 것들을 간추려 정리해 보자면, Open Weather설치 후 설정 화면에서 + 버튼을 눌러 관심 지역을 추가해준 다음에 기본 설정 지역을 삭제해준다.더불어, 표시 단위 값들도 변경해 주어야 한다. 영어로 표시되지만 그림과 숫자값만으로도 충분히 이해 가능하다. Caffeine 일정 시간 동안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화면이 대기상태로 진입하는 것을 막아준다. Pause Night Light심야 시간대에 화면의 푸른 빛을 약하게 만드는 기능을 10초 동안 정지 시킨다.색감을 확인할 때에 유용하다.
명령창을 실행해서 크롬 그놈 쉘을 설치한다.sudo apt install chrome-gnome-shell 다음의 명령으로 그놈 트윅 툴을 설치한다. 한국어 번역으로는 기능 개선이라고 번역되어 있다.sudo apt install gnome-tweak-tool https://extensions.gnome.org 로 이동해서 User Theme을 설치한다.User Theme는 쉘 테마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해준다. https://www.gnome-look.org 에서 맘에 드는 테마를 설치할 수 있다. osx-arc-collection_1.4.5_amd64.deb 테마를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였다.아이콘은 Arc-OSX-Icons-2.1.tag.gz을 다운로드 받았다. 테마 패키지는 /usr/share/them..
파이어폭스를 사용해서 크롬 다운로드 사이트로 이동한 다음,64비트 데비안 패키지를 다운로드 받는다.더블 클릭해서 설치. 크롬에 로그인 하면, 크롬 앱들이 데스크탑 프로그램 리스트에 표시되는데,이들을 제거하려면노틸러스를 실행시켜서 홈 디렉토리 아래에 ~/.local/share/applications 폴더로 이동해서,*-Default.desktop 파일들을 모두 삭제해주면 된다.
우분투 17.10 설치 후,설정 화면에서 언어 지원 패키지를 설치한다. 이래저래 둘러보다 보면 잠시 후 업데이트 알림창이 뜬다.
윈도우즈 10 (64비트) 운영체제에 설치된 버츄얼박스 5.0에 OS X 10.11 El Capitan을 게스트 운영체제로 설치해 보았다.이 글 맨 아래에 참조 링크를 붙여 놓았으니 자세한 사항은 해당 링크의 내용을 참고하기 바란다. 우선, 디스크 이미지를 다운로드 받는다.새 가상 머신을 만들 때, 다운로드 받은 디스크를 사용한다.다음 설정 이미지들을 참고해서 꼼꼼하게 설정하기 바란다. 설정이 끝났으면 일단 버츄얼박스를 종료한 다음, 명령창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한다.cd "C:\Program Files\Oracle\VirtualBox\"VBoxManage.exe modifyvm "El Capitan" --cpuidset 00000001 000106e5 00100800 0098e3fd bfebfbffVB..
1. 아래 주소로 가서 '미디어 제작 툴'이라고 써있는 파일을 하나 받는다.https://www.microsoft.com/en-us/software-download/windows102. 적당한 크기의 USB 드라이브를 하나 준비한다.3. 받은 파일을 실행 시키면 뭐라 뭐라 나오고 확인을 누르면 다운로드가 진행된다.- 끝. 네트워크 하드가 안잡혀서 깨끗이 깨끗이 밀고 다시 깔았더랬다,귀찮아서 포맷은 안하고 삭제만 하는걸로 진행했더니 파티션이 엉망이다.그래서 다시 제대로 해보려고... 쌩고생하는 중..
위 파일을 다운로드 받은 다음,탐색기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서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시킨다. 위 스크립트가 하는 일은 원드라이브 프로세스를 종료시키고탐색기의 왼쪽 사이드 바에서 항목을 제거하는 것이다.수작업으로 하기에는 레지스트리랑 뭐랑 건드릴게 많으니... 여튼, 스크립트까지 만들어져 나오는 걸로봐선 이걸 걸리적거려 하는 사람들이 꽤 있단 얘기일텐데... @echo offcls set x86="%SYSTEMROOT%\System32\OneDriveSetup.exe"set x64="%SYSTEMROOT%\SysWOW64\OneDriveSetup.exe" echo Closing OneDrive process.echo.taskkill /f /im OneDrive.exe > NUL 2>&1ping 12..
작년이었던가, 넷북을 하나 샀었다.우분투를 깔아서 쓸 생각이었으나아톰 프로세서의 인텔 GMA 그래픽 드라이버가 지원이 안되었었다.하는 수 없이 윈도우즈 8을 쓰려했는데 윈도우즈 8 드라이버도 지원이 안되고울며 겨자먹기로 원도우즈 7 스타터 버전을 쓰고 있었는데, 각종 해외 포럼들을 뒤진 결과,인텔에서는 PowerVR 계열 비디오 드라이버 지원계획이 없다고 그랬었는데, 오늘 우분투 14.04를 설치해보니 인텔 GMA 3650 드라이버 지원이 된다!!!우왕~ 그래서 이제, 드디어, 나의 넷북 메인 운영체제는 우분투가 되었다. 그러나, 유니티는 여전히 무겁다.그래서 오픈박스를 추가 설치했다. 오픈박스 세션에서는 넷북이 날아다닌다.
앱 제작 견적 의뢰가 있어서 이래저래 기준이 될만한 자료를 찾던 중 유용한 자료를 발굴하여 기록해 둠.
한동안 내 컴퓨터의 백신으로 Microsoft Security Essentials를 사용해왔다. 그러다 문득 백신 하나 더 깔아볼까하는 생각에 네이버 백신을 설치하게 되었고 한 며칠 동안은 별 무리 없이 사용했다. 그러나,그러던 어느 날, 메모리의 절반 이상을 혼자서 독식하고 있는 위엄을 보였다. (내 컴퓨터에 장착된 램은 4G) 만일 여유 메모리가 더 있었다면 그마저도 냉큼 집어 삼켰을 기세다. 덕지덕지 끼워깔기라거나 웹브라우저의 시작 페이지 강요 따위는 차치하더라도, 이런 무지막지한 램 점유율은 용서할 수가 없다.쓰벌...
쓰면 쓸수록 에버노트 에디터가 참 맘에 들어서 블로깅 툴로 쓰면 참 좋겠다 싶어서에버노트에서 blogApi 지원하는 플러그인이나 확장 같은거 없나하고 이래저래 찾아다녀도 딱히 없더구만,,,그런데 딱! 찾은 방법이,,,에버노트에서 노트를 이메일로 전송하는 방법이 있더라.블로그에서 이메일로 글 작성하는 기능만 지원하면 가능하다.물론 티스토리는 안된다. 블로거는 잘된다. 워드프레스는 안써봐서 모르겠지만 될껄?에버노트에서 노트 작성 후,툴바 : '노트 > 공유 > 이메일로 보내기' 하면 된다. 이때 이메일 주소에는 블로거에서 설정해둔 글 게시용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면 된다. 블로거에서 이메일 설정은 '설정 > 모바일 및 이메일' 페이지에서 설정할 수 있다. 시험삼아 블로그로 노트를 하나 전송해 본 결과 깔끔하다..
일러스트레이터에서 각각의 레이어 별로 이미지로 저장하는 방법프리젠테이션 혹은 모션 비디오를 만들려고 했다. 이에 필요한 이미지들을 일러스트레이터에서 레이어 별로 분할해서 작업해 두었는데, 수십개의 레이어를 어느 세월에 한 장씩 이미지로 저장하겠는가...그래서, 구글에게 물어보니 누군가가 스크립트를 만들어 놓지 않았겠는가. 그 좌표는 이러하다.http://www.ericson.net/content/2011/06/export-illustrator-layers-andor-artboards-as-pngs-and-pdfs/ 사용 방법은 간단하다. 우선 위의 주소로 가거나 편의상 이 글 아래에 첨부해 둔 파일을 다운 받아 적당한 곳에 저장해 둔다.File > Scripts > Other Script를 실행한 후 다..
나인 패치 이미지는 이미지의 특정 영역을 늘여서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이미지이며, 주로 안드로이드 앱의 배경 화면으로 사용되요. Better 9 Patch Tool을 사용하면 나인 패치 이미지를 보다 쉽고 보다 효율적으로 제작할 수 있어요. 안드로이드용 앱을 전문적으로 개발하는 개발자나 디자이너 그리고 테마 제작자들에게 반드시 필요한 도구랍니다.나인 패치 이미지는 표준 PNG 이미지에 상/하/좌/우로 각각 1픽셀씩을 추가해서 각 테두리에 검은 색 선으로 특정 정보를 표시하는데요, 위쪽과 왼쪽 영역은 이미지를 표시할 영역보다 이미지가 작은 경우에 이미지가 가로/세로로 늘여질 구간을 지정하고, 오른쪽과 아래쪽 영역은 내부의 컨텐츠가 표시될 영역을 나타내죠.이 글을 읽고 계신 대부분의 분들께선 이미 안드로이..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한 코드 하이라이트를 블로그에 적용하는 방법. 티스토리의 스킨 파일 업로드에 스크립트 파일을 올린다고 접근이 되는건 아니구나. 하고 깨달음. 그래서 외부 사이트에서 호스팅 하는 방법을 고려함. 설정 부분의 적당한 위치에 다음을 삽입한다. 사용 표현할 코드를 다음의 태그로 둘러싼다. ... 테스트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args[0]); if (args.length>0 && args[0].equals("h")) { System.out.println(args[0]); } else { App.launch(args); } } 참조 google-code-prettify (http://google-code-pr..
http://lifehacker.com/5973750/download-adobe-creative-suite-2-including-photoshop-and-illustrator-for-free몇 년 지난 버젼이긴 하지만, 어도비의 크리에이티브 슈트 2(포토샵이나 일러스트레이터 등)를 무료로 받을 수 있는 방법이 있다고 한다.다운로드 방법은 어도비 멤버 계정을 등록하는 것! 현재 사람들이 바글바글 거려서 페이지 로딩이 좀 느리다고 한다.
컴퓨터의 메인보드는 시간을 저장하고 있다.운영체제는 이시간을 사용해서 현재시각을 표시하는데,윈도우즈의 경우에는 지역시간, 그러니까 우리나라의 경우 UTC+9:00을 기준으로 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있다.예를 들면, 우리나라의 현재시간이 9시인 경우에 메인보드의 시계도 9:00이고 따라서 윈도우즈도 9:00으로 표시해준다.하지만 우분투 등 유닉스/리눅스 계열의 운영체제들은 메인보드의 시계가 UTC+0:00을 기준으로 한다고 가정한다.예를들어, 우리나라가 오전 9시인 경우에 메인보드의 시계는 0:00으로 기억되어 있고 운영체제는 여기다가 사용자의 시간대를 더해서 현재 시간을 표시해준다.문제는 윈도우즈와 우분투를 멀티부팅으로 구성해서 사용하는 경우이다. 각각의 운영체제를 시작할 때마다 시간이 틀어지게 된다. 이..
USB 메모리에 우분투를 설치하는 방법이 글은 우분투 설치용 USB 디스크를 만드는 방법에 관한 것이 아니라, USB 디스크에 직접 설치하는 방법에 관한 내용이다. 이렇게 만든 USB메모리는 CMOS의 부팅 순서를 바꿔서 USB로 부팅하면 사용할 수 있다. 그동안 하드디스크의 파티션을 나눠서 윈도우즈와 함께 사용하거나 하드디스크 전체를 우분투로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했었지만, 어느 날 찾아든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하면 SSD를 사용하는 효과가 나지 않을까하는 아이디어와 구글 검색의 도움으로 버츄얼 박스를 사용하면 우분투 USB를 쉽게 만들 수 있음을 깨닫고 곧 실행에 옮겼다. 물론 결과는 성공적이다.준비물 : 우분투 설치 디스크 이미지 USB 메모리 버츄얼 박스이번에 사용한 우분투는 12.04 LTS (32..